본문 바로가기

Trend Note/Tech

(15)
구글, "일본" 핀테크 시장으로 침투한다 구글, 일본 결제 스타트업 프링 인수 검토 중 구글(Google)이 일본의 무현금 결제 스타트업 프링(Pring)의 인수를 검토 중에 있다고 한다. 인수가격은 1억 8,000만 달러에서 2억 7,000만 달러 사이에 있다. 프링은 스마트폰이나 노브툭에서 결제와 송금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타트업이다. 만약 구글이 이를 인수하게 되면, 여타 은행이나 카드사에 의존하지 않아도 결제, 송금 등의 서비스를 포함하여 일본 내 핀테크 시장으로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갈라파고스 일본 핀테크 시장 일본은 2000~201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핀테크 선진국이라 불릴만큼 빠른 속도로 새로운 결제 솔루션들이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도코모(Docomo)의 모바일 월렛은 2004년 출시되었다. 스마트폰의 개념이..
스타트업 할로(Halo), 택시 기사 없는 택시 출시 자율주행은 아니지만... 미국의 할로(Halo)에서 최근 택시 운행 서비스를 하나 발표했다. 특징은 택시 기사가 없다는 점이다. 택시 기사는 택시에 타지 않은 채 원격으로 운전을 한다(아래 사진 참고).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택시 차량에 붙어 있는 다수의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차량 주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운전 센터에 있는 원격 택시 운전수에게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 운전수는 마치 레이싱 게임을 하듯 택시를 외부에서 운전하게 된다고... 5G 기반의 모빌리티 서비스 이 택시 서비스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일부 지역에서 운행된다. 할로의 택시가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T-모바일(T-Mobile)의 5G 무선 네트워크로 알려져 있다. 할로 택시는 차량이 카메..
스퀘어, 비트코인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지갑 개발 중 스퀘어, 이 구역의 진정한 비트코인 성애자 스퀘어는 회사의 명운을 비트코인에 몰빵(?)하고 있는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지난 6월 초에는 블록체인 기술 업체인 블록스트림 마이닝(Blockstream Mining)과 파트너십을 맺고 태양에너지 기반의 비트코인 채굴 시설을 구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100% 재생가능 에너지 기반의 대규모 비트코인 채굴에 대한 PoC(proof-of-concept)" 차원에서 구축될 예정으로, 당시 스퀘어는 이 시설의 구축에 총 5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테슬라(Tesla)의 일론 머스크 CEO가 비트코인 채굴에 많은 양의 전기가 소모된다고 비판한 것과 맞물려 가상화폐 업계의 많은 이목을 끌었다. 비트코인 전용 물리적 지갑 나온다? 이러한 가운데, 스퀘어..
맥킨지가 내다본 향후 10년 동안 가장 중요한 메가트렌드 트렌드에 관심 있다면 꼭 알아야 할 기술 동향 10가지 지난 6월 15일 맥킨지가 "The Top Technology Trends"라는 아티클을 공식 홈페이지에 포스팅했다. 이 아티클은 향후 10년, 그러니까 현재부터 2025년까지 사회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트렌드를 소개한 글이다.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세스의 자동화 및 가상화(Next-level process automation and virtualization) 이 기술은 로봇,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디지털 트윈스, 3D와 4D 프린팅(혹은 적층제조, AM)에 있어 핵심적인 기술이다.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높인다. 맥킨지는 2025년까지 현재 수행 중인 업무의 50%가 자동화될 것이라 예상..
요가복 브랜드 룰루레몬이 앞으로 노리는 것? 여전히 잘 나가는 룰루레몬 룰루레몬(Lululemon)은 요가복에서 영감을 얻은 스포츠웨어 브랜드이다. 그리고 애슬레저 트렌드를 전파한 주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룰루레몬은 기존에 나이키, 아디다스 등 글로벌 대형 스포츠 브랜드가 주목하지 않았던 여성 스포츠의류 소비자들을 타깃화하였고, 이는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이 됐다. 덕분에 창립 이래 현재까지 룰루레몬은 단 한 번도 성장이 중단된 적 없다. 코로나19 펜데믹 기간 동안에는 홈트족(홈트레이닝 족)이 늘어나면서 더욱 호황을 누리기도 했다. 테크 기업으로 발돋움 여지 보이는 룰루레몬 룰루레몬에 관심을 갖게된 건 바로 지난 2020년 여름이다. 2020년 6월 룰루레몬은 미러(MIRROR)라는 스마트 홈 피트니스 기업을 하나 인수했다. 미러는 거울형 스마트..
웨이모(Waymo), 조용한 듯 조용하지 않은... 자율주행차업계에서 웨이모(Waymo)는 한동안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알파벳(구글)이라는 거대 모기업을 등에 업고도 테슬라(Tesla)는 물론이고, 다른 완성차 업체에게까지 시장의 주도권을 빼앗긴 모습이다. (물론 웨이모는 완성차 업체는 아니고, 테슬라에 대한 관심은 자율주행차가 아닌 전기차, 그리고 증권시장에서의 연이은 상승 러쉬 때문일테지만) 실제로 내부적으로도 심각성을 느낀 모양인지 지난 4월에는 CEO가 사임하는 등의 이슈가 있었다. 그런데 VC의 시각에서 여전히 웨이모의 잠재력이 남아있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지난 2021년 6월 중순 웨이모는 또 한 번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에 유치한 금액은 25억 달러로, 앤드르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등의 VC를 비롯해 마그..
바이트댄스(Bytedance), 인공지능 기술을 팔기 시작했다? 틱톡(TikTok)을 운영하는 중국 테크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자사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서드파티 고객들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회사 내부에 바이트플러스(BytePlus)라는 신규 사업부를 설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AI 고객 유치에 나설 전망이다. 현재 바이트플러스가 판매하는 AI 솔루션은 기존 틱톡에서 사용하던 추천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유저의 관심사에 따라 추천 영상을 제공하는 틱톡의 알고리즘 덕분에 오늘날의 틱톡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틱톡은 지난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사의 포유(ForYou) 피드가 어떻게 작동하는 지 설명한 바 있다. 블로그에 따르면, 틱톡의 포유 피드 추천 알고리즘은 유저가 어떤 동영상에 좋아요(Like), 공유, 댓글 등의 행..
동남아 차량호출 서비스 Gojek의 핀테크 스타트업 인수 배경 미국 블룸버그의 23일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및 그 주변 국가를 중심으로 차량 호출 시장을 석권 중인 Go-Jek이 최근 POS(Point of sales) 계열의 스타트업 Moka를 인수했다고 한다. 참고로 Go-Jek이 Moka를 인수한 금액은 1억 3,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여파로 동남아시아 권역에서도 비현금 결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최근 Moka와 같은 핀테크 스타트업의 몸값이 크게 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Go-Jek은 차량 호출 시장을 선점한 이후,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슈퍼앱(Super-App)으로서 성장하는 전략을 펼쳐왔다. 이번 Moka에 대한 인수 역시 슈퍼앱으로서 성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출처: ht..